[현재상황과전망] 한국, 미국, 日本 의 종합목록 시스템 운영 현재상황 비교 analysis(분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27 08:38
본문
Download : [현황과전망] 한국, 미국, 일본의 종합목록 시스템 운영 현황 비교 분석.hwp
설명
전문자료/통계자료
순서
한국, 미국, 日本 의 종합목록 시스템 운영 현재상황 비교 analysis(분석) 활용방안(方案) : KERIS의 UNICAT을 중심으로
한국, 미국, 일본의 종합목록 시스템 운영 현황 비교 분석 활용방안 : KERIS의 UNICAT을 중심으로 , [현황과전망] 한국, 미국, 일본의 종합목록 시스템 운영 현황 비교 분석통계자료전문자료 , 과전망 한국 미국 일본 종합목록 시스템 운영 비교
1. 서론
2. 유니온 DB의 의미
2. 1 UINION DB란
2. 2 유니온 DB의 유형
2. 3 유니온 DB의 기능
2. 4 분담목록이란
2. 5 온-라인 종합목록의 형태
3. 유니온 DB의 활용 事例
3. 1 국외 유니온 DB 실태
3. 2 국내 유니온 DB 실태
4. KERIS-UNICAT 유니온 DB의 실태(實態) 조사
4. 1 참여 도서관 및 구축 DB 실태조사
4. 2 표준화
4. 3 문제가되는점 分析(분석)
5. 향후 발전 방향
6. 結論
1. 서론
온-라인 공동목록 시스템이란 개별 도서관의 표준목록을 센터에 모아 종합목록 데이타베이스를 구축하고, 센터에 구축된 목록을 공동으로 이용함으로써 지식자원의 활용을 극대화하고, 동일한 서지에 대해 중복 투자되는 시간과 노동을 최소화하며, 도서관간의 공동협력의 environment을 제공하는 제도이다.
대학도서관 종합목록 구축은 학술정보자원 유통을 위한 기반 조성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동시에 공동목록 작성 작업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목록 작성에 소요되는 인력과 예산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국내에서는 대학도서관 전산화가 거의 완료된 1997년에 KERIS(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구]첨단학술정보센터)에서 대학도서관 종합목록데이타베이스 구축을 시도하였다. 컴퓨터와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해 개별도서관 차원의 온-라인 목록작업이 용이하게 되었고, 나아가 국가 또는 단체 차원에서의 분담목록을 통한 공동목록 작성의 必要性도 높아짐에 따라 선진 도서관들은 국가 또는 단체로 협력하여 목록작업의 분담뿐만 아니라 수서, 상호대차, 참고봉사 등 다양한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공동협력의 범위를 넓혀 나가고 있는 실정이다. 한 곳에 집중된 파일(목록데이타베이스)을 여러 참가관이 공동으로 이용하여 키워간다는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의 잇점을 살린 획기적인 시스템이었다. 이 시스템은 센터의 데이터베이스가 목록기록을 갖고 이것을 이용하여 목록을 작성하지만 센터에 없으면 새로운 목록기술을 작성(original cataloging)한다는 방색을 채택하였다. 152개 도서관으로부터 수집된 서지데이타를 기계적으로 중복 확인하여 700만건의 서지 및 1,900만건의 소장데이타를 구축하였는데, 수…(skip)
Download : [현황과전망] 한국, 미국, 일본의 종합목록 시스템 운영 현황 비교 분석.hwp( 69 )
[현재상황과전망] 한국, 미국, 日本 의 종합목록 시스템 운영 현재상황 비교 analysis(분석)
![[현황과전망]%20한국,%20미국,%20일본의%20종합목록%20시스템%20운영%20현황%20비교%20분석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D%98%84%ED%99%A9%EA%B3%BC%EC%A0%84%EB%A7%9D%5D%20%ED%95%9C%EA%B5%AD,%20%EB%AF%B8%EA%B5%AD,%20%EC%9D%BC%EB%B3%B8%EC%9D%98%20%EC%A2%85%ED%95%A9%EB%AA%A9%EB%A1%9D%20%EC%8B%9C%EC%8A%A4%ED%85%9C%20%EC%9A%B4%EC%98%81%20%ED%98%84%ED%99%A9%20%EB%B9%84%EA%B5%90%20%EB%B6%84%EC%84%9D_hwp_01.gif)
![[현황과전망]%20한국,%20미국,%20일본의%20종합목록%20시스템%20운영%20현황%20비교%20분석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D%98%84%ED%99%A9%EA%B3%BC%EC%A0%84%EB%A7%9D%5D%20%ED%95%9C%EA%B5%AD,%20%EB%AF%B8%EA%B5%AD,%20%EC%9D%BC%EB%B3%B8%EC%9D%98%20%EC%A2%85%ED%95%A9%EB%AA%A9%EB%A1%9D%20%EC%8B%9C%EC%8A%A4%ED%85%9C%20%EC%9A%B4%EC%98%81%20%ED%98%84%ED%99%A9%20%EB%B9%84%EA%B5%90%20%EB%B6%84%EC%84%9D_hwp_02.gif)
![[현황과전망]%20한국,%20미국,%20일본의%20종합목록%20시스템%20운영%20현황%20비교%20분석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D%98%84%ED%99%A9%EA%B3%BC%EC%A0%84%EB%A7%9D%5D%20%ED%95%9C%EA%B5%AD,%20%EB%AF%B8%EA%B5%AD,%20%EC%9D%BC%EB%B3%B8%EC%9D%98%20%EC%A2%85%ED%95%A9%EB%AA%A9%EB%A1%9D%20%EC%8B%9C%EC%8A%A4%ED%85%9C%20%EC%9A%B4%EC%98%81%20%ED%98%84%ED%99%A9%20%EB%B9%84%EA%B5%90%20%EB%B6%84%EC%84%9D_hwp_03.gif)
![[현황과전망]%20한국,%20미국,%20일본의%20종합목록%20시스템%20운영%20현황%20비교%20분석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D%98%84%ED%99%A9%EA%B3%BC%EC%A0%84%EB%A7%9D%5D%20%ED%95%9C%EA%B5%AD,%20%EB%AF%B8%EA%B5%AD,%20%EC%9D%BC%EB%B3%B8%EC%9D%98%20%EC%A2%85%ED%95%A9%EB%AA%A9%EB%A1%9D%20%EC%8B%9C%EC%8A%A4%ED%85%9C%20%EC%9A%B4%EC%98%81%20%ED%98%84%ED%99%A9%20%EB%B9%84%EA%B5%90%20%EB%B6%84%EC%84%9D_hwp_04.gif)
![[현황과전망]%20한국,%20미국,%20일본의%20종합목록%20시스템%20운영%20현황%20비교%20분석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D%98%84%ED%99%A9%EA%B3%BC%EC%A0%84%EB%A7%9D%5D%20%ED%95%9C%EA%B5%AD,%20%EB%AF%B8%EA%B5%AD,%20%EC%9D%BC%EB%B3%B8%EC%9D%98%20%EC%A2%85%ED%95%A9%EB%AA%A9%EB%A1%9D%20%EC%8B%9C%EC%8A%A4%ED%85%9C%20%EC%9A%B4%EC%98%81%20%ED%98%84%ED%99%A9%20%EB%B9%84%EA%B5%90%20%EB%B6%84%EC%84%9D_hwp_05.gif)
![[현황과전망]%20한국,%20미국,%20일본의%20종합목록%20시스템%20운영%20현황%20비교%20분석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D%98%84%ED%99%A9%EA%B3%BC%EC%A0%84%EB%A7%9D%5D%20%ED%95%9C%EA%B5%AD,%20%EB%AF%B8%EA%B5%AD,%20%EC%9D%BC%EB%B3%B8%EC%9D%98%20%EC%A2%85%ED%95%A9%EB%AA%A9%EB%A1%9D%20%EC%8B%9C%EC%8A%A4%ED%85%9C%20%EC%9A%B4%EC%98%81%20%ED%98%84%ED%99%A9%20%EB%B9%84%EA%B5%90%20%EB%B6%84%EC%84%9D_hwp_06.gif)
과전망,한국,미국,일본,종합목록,시스템,운영,비교,통계자료,전문자료
다. 미국 오하이오주 대학도서관 54개관은 1967년 OCLC를 창립하고, 1970년에 인쇄카드를, 1971년에 온-라인목록시스템에 의한 서비스를 개시하였다.
도서관협력에 의한 목록작업의 효시는 OCLC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