環境(환경)미생물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0-17 14:42
본문
Download : 2018기말 미생물.hwp
1-1)생물막: 생물 또는 무생물의 표면에 한 종의 세균 또는 다양한 종의 세균이 함께 군집을 이루어 부착한 형태.
설명
chapter 18 자연계미생물 생태
순서
-영양분을 얻기 위한 많은 생태적 이득을 가져다준다 (해양의 이온 또는 소수성물질은 생물막에 농축 될 수 있다
2-2)조간대(intertidal)의 미생물 매트
-그 안에서의 미생물끼리 상호작용을 통해 대사적인 협동작용과 형질전환, 형질도입, 접합 등의 유전자 교환이 일어나기도 한다. 다양한 표면에서 이러한 부착생활을 하는 세균 군집은 원생동물과 박테리오파지와 같은 생물적 천적이나 중금속, 항생물질, 오염물질과 같은 다양한 독성의 화학물질에 대하여 보호 efficacy를 갖는다. 또한 수중 부유물이나 토양의 침전물 등에 부착하여 살아가기도 한다.
環境(환경)미생물학
미생물매트에서 세균이 주요 구성Cause 데 고균과 진핵생물은 적은 비율로 존재.(고균1~20%-일반 생태계와 비슷)
-생태의 전체 세균 99.9% 이상 표면에 붙은 생물막 형태로 생장한다. 環境(환경)미생물학 이론(理論) 정리파일 입니다.
남세균,vacteroidetes, chloroflex, planctomycetes, spirochetes, proteobacteria 및 기타 적은 세균종류들
환경미생물
-고온성 남세균(oxygenic 매트), 산소비발생 광합성 세균(chloroflexus 매트), 혹은 호산성 산소비발생 광영양성 세균(Chlorofrexus 매트)
18.1생물막 형성과 미생물매트
-광합성을 하는 온천 미생물 매트의 구성
2)해양環境의 생물막 형성
-외부 環境으로부터의 보호기능을 한다. 환경공학 전공으로 필요한 부분만을 선택적으로 추려내서 정리하였습니다.
다.
-고염環境 고온의 온천 지역의 미생물 매트는 진핵생물을 거의 포함하지 않지만 조간대 미생물매트는 작은 진핵생물을 포함.
→담수와 해수의 유입으로 인하여 염분이 수시로 바뀌고 온도 등 다른 環境alteration(변화) 가 수시로 일어나는 지역임.
2-1)생물막 이점
-모든 조간대(만조,간조때의 해안선)의 초기 정착 미생물: 남세균(생물량과 EPS(세포 밖 고분자물질)와 유기물질을 공급하여 미생물 먹이사슬을 스타트하여 다른 많은 그룹의 미생물이 동시에 정착할수 있게함)
1-2)미생물 매트: 생물막이 퇴적층과 물이 만나는 다양한 담수와 해양의 수중環境에서 층을 이루어 존재하게 될 때임.(미생물 매트는 생물막의 각 미생물이 명확하게 층을 이루며 살아가고 있는 형태에 국한하여 사용)
해양에서 여러 다양한 물리화학적 생물학적 特性(특성)을 가지는 표면(동물,조류,건축물 등)이 존재하는데 이 표면에 다양한 해양미생물이 군락을 이루어 생물막을 형성.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온천環境(고온,산성PH,황농도가 높은 지역)에서는 고균과 세균만이 주로 생존하고 여기의 미생물 매트는 산소발생과 산소비발생 광합성, 황의 산화에 의해 1차 생산에 기여.
-경사가 낮고 모래의 퇴적층 해변에서 주로형성(아주 극한 環境에 속함)
Download : 2018기말 미생물.hwp( 64 )
-고염環境 미생물 매트는 구분되는 세균종류(고염의 수중環境에는 고균이 주로 존재)
고염環境의 수중에서는 고균이 전체 생물량의 80%까지도 분포하지만 고염의 미생물 매트에서는 이렇게 높은 수준의 고균이 존재하지 않는다.
환경미생물학 이론 정리파일 입니다. 環境(환경)工學 전공으로 필요한 부분만을 선택적으로 추려내서 정리하였습니다. 미생물 매트의 주요 고균(호염성고균,메탄생성고균), 고염環境과 조간대 미생물 매트가 온천 미생물매트보다 더 다양하고 염분이 미생물의 다양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環境인자가 됨.
-고염環境의 미생물 매트는 인공염전이나 염분호수에서 주로 형성되는데 해안의 미생물 매트와 다르게 계절 influence없이 계속적으로 생장하고 다층구조를 이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