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요법과 선택이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2-02 04:21본문
Download : 현실요법과 선택이론.hwp
그러나 정신analysis(분석) 치료의 이론(理論)과 기법, 그리고 效果에 불만족을 느끼게 되면서부터 오늘의 현실치료를 발전시키게 된 것이다. 그럼 자료를 받으시는 모든 분들께 언제나 행복이 가득하시길 바랍니다^^현실요법과선택이론 , 현실요법과 선택이론의약보건레포트 ,
,의약보건,레포트
레포트/의약보건
설명
현실요법과 선택이론에 관하여 부족하지만 최선을 다해 작성하고자 노력하였으니 만족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현실요법과 선택이론에 관하여 부족하지만 최선을 다해 작성하고자 노력하였으니 만족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그 후 다시 오하이오주 클리브렌드에 있는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에서 의학을 공부하고, 28세가 되던 해에 정신과 의사가 되었다.
그는 개인상담 이외에도 재활센터와 youth 감화원 등에서 정신치료를 하였으며, 1963년부터 California주의 공립학교들을 위한 자문위원으로서 학급실정에 맞는 현실치료를 적용한 치료적 접근으로 `낙오자 없는 학교 만들기`를 위해 광범위하게 일했다.
1961년에 그는 처음으로 「정신건강 혹은 정신질환」이라는 저서를 발표하여 현실요법 상담의 기본적인 槪念을 밝혔다. 그럼 를 받으시는 모든 분들께 언제나 행복이 가득하시길 바랍니다^^
순서






현실요법과선택이론
Download : 현실요법과 선택이론.hwp( 39 )
Ⅰ. 개관
Ⅱ. 현실요법의 창시자 William Glasser 紹介
Ⅲ. 현실요법 이론(理論)의 발달
1. 죠지 해링톤(George L. Harrington)기
2. 윌리암 파워즈(William Powers)기
3. 에드워드 데밍(Edward Deming)기
Ⅳ. 현실요법과 선택이론(理論)의 주요 槪念
1. 인간관
2. 선택이론(理論)(choice theory)
1) 기본적 욕구
2) 전행동(Total Behavior)
3) 지각 체계(perception)-현실세계와 인식되는 세계
4) 머릿속의 사진첩, 질적인 세계(Quallity world)
5) 행동 체계(behavior system)
6) 불행의 선택과 인식
3. 현실요법의 槪念과 특징
4. 현실치료와 다른 치료 방법의 비교
1) 정신analysis(분석) 과의 비교 2) 행동주의 치료와의 비교
3) Adler의 개인심리학과의 비교 4) Ellis의 합리적 정서행동요법과의 비교
Ⅳ. 현실요법의 적용과 진행절차
1. 상담 環境(환경) 가꾸기
1) 권장 사항 2) 금지 사항
2. 행동變化를 위한 상담과정(WDEP체계)
1) 욕구·바램·지각 탐색하기 (WANT)
2) 전행동과 행동 방향 탐색하기 (DOING)
3) 바램·행동·계획에 대한 자기평가하기 (EVALUATION)
4) 계획하기 (PLAN)
5) 계획에 대한 약속하기
Ⅴ. 현실요법의 공헌과 제한점, 훈련과정
※ 부록 (상담事例, 현실치료 추천도서)
Ⅱ. 현실요법의 창시자 William Glasser 紹介
윌리암 글래써는 1925년 오하이오주의 클리브렌드에서 태어나 공업전문학교를 졸업하고 19세에 화공기사가 되었으나 심리학에 관심을 기울이면서 23세에 임상심리전문가가 되었다.
로스엔젤레스의 캘리포니아 대학과 서부 로스엔젤레스에 있는 재향군인병원에서 정신과 수련의 과정과 전문의 과정을 밟았는데, 그 동안에는 전통적인 정신analysis(분석) 치료방법으로 훈련받을 수밖에 없었다. 1969년에 현실치료를 위한 연구소를 Los Angeles에 개설하여 현재까지 연구소의 소장과 재단운영 위원회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초기의 연구소 활동은 미국과 캐나다에 국한되었으나, 현재는 아일랜드, 유고슬라비아, 호주, Japan, 노르웨이와 한국 등을 비롯한 전세계로확장 일로에 있다 그는 선택이론(理論)과 현실치료 강의와 훈련 과정 지도에도 적극적으로 참가하고 있으며, 그의 현실치료연구소(1996년 5월에 `윌리암 글래써 연구소’라고 명칭을 바꿈) 에서는 의사, 간호사 ,심리학자 목회자 사회사업가, 법률가, 교사들을 위한 현실치료 집중훈련과정에 필요한 교재와 기타 정보를 제공한다. 이 과정은 초급, 중급, 수료과정과 두 번의 Supervision과정의(定義) 다섯 단계로 나누어져 있으며, 최소 18개월(1…(drop)
현실요법과 선택이론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