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무용] 마기 마랭의 작품세계와 전후 예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08 23:40
본문
Download : Marin.hwp
하지만 이러한 실존은 절망적이고 허무적인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모습을 되찾고 본래의 자기에게 다시 돌아감으로서 소외와 상실의 상태에서 벗어나 자신의 인간회복을 추구하고 있다. 무용극에서 이야기를 전개해 나가고 분위기를 만들어가는 것은 전적으로 안무가의 해석력과 구성력에 달려 있고 이런 기술적인 면 이상으로 가지고 있어야할 것은 안무가의 철학인 것이다. 얼굴을 온통 흰색가루로 칠하고 온몸을 노인처럼 한 분장, 몸을 부풀려서 뚱뚱하게 보이도록 만든 누더기 의상, 비장한 음악과 그로테스크한 음악, 정신병동의 환자들같이 여러 무용수들이 집단적으로 내는 다양한 소리와 몸짓 등이 무대위에 표현되면서 아무데도 갈곳 없는 절망적이고 비틀거리는 인간의 모습과 그런 인간의 반복된 삶을 묘사한 작품이다. 인간 자신의 주체성 탐구나 자아의 본성을 발견하는 것이 아니라 주체성 그 자체의 문제를 제기하는 실존주의에 바탕을 둔 것이다.
마랭, 프랑스, 공연예술, 현대무용





「May B」를 통해 본 전후(戰後)예술의 지향점
무용극의 조건은 무용을 기초로 하여 연극적인 체제와 원칙에 따라 나가는 극의 기본 전제로서 플롯 구성과 인물 또는 성격, 그리고 행동과 갈등 등의 요소를 지니고 있는 것이다. ‘고도를 기다리며’에서 나온 등장인물의 역할을 수행하는 무용수들은 없지만 무용수들이 표현해내는 분위기와 이미지로서 원작의 주제를 잘 표현해냈다.
설명
‘May B`는 무용극으로서의 인간존재 허무의 주제를 명확하게 전달하고 있다.
Download : Marin.hwp( 11 )
프랑스의 대표적인 안무가 마기 마랭의 작품세계와 세계대전 전후의 예술세계를 기술하였습니다. 여기에서 볼 수 있듯이 안무가의 역할은 중요하며 절대적이다. 무용수들의 행위들은 단순히 기능적인 나열 이상으로 인물property(특성)에 대한 표현으로 존재한다. 각각의 장면이나 상황에서는 기다림을 통한 반복적인 몸짓과 소리 등의 움직임의 미학과 극적인 요소들을 혼합한 다양한 무대표현으로서 ‘인간존재의 상실과 허무’라는 주제를 선명하게 전달하였다.
다.
[현대무용] 마기 마랭의 작품세계와 전후 예술
순서
레포트 > 예체능계열
프랑스의 대표적인 안무가 마기 마랭의 작품세계와 세계대전 전후의 예술세계를 기술하였습니다. 그는 무엇인가가 아니라, 그가 어떻게 존재하는가라는 질문을 통해 문제제기 되어진다. ‘May B’는 무용극이 지녀야 할 요소들과 ‘고도를 기다리며’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인간존재의 허무 또는 존재의 상실이라는 주제를 무대에 표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