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te.kr 평사 투영법 > state1 | state.kr report

평사 투영법 > state1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state1

평사 투영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5-02 05:16

본문




Download : 평사 투영법.hwp







Download : 평사 투영법.hwp( 60 )


레포트/인문사회
부족하지만 최선을 다해 작성하고자 노력하였으니 만족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다음 단계로, 작성완료 된 밀도분포도상에 대사상면의 주향과 경사를 나타내는 대원(great circle)과 daylight envelope를 작도한다. 그리고 이 대원의 방향과 ±10°의 위선이 서로 만나는 구간을 작도하여 toppling envelope를 작도한다.그럼 자료를 받으시는 모든 분들께 언제나 행복이 가득하시길 바랍니다^^평사투영법 , 평사 투영법인문사회레포트 ,
그럼 자료(資料)를 받으시는 모든 분들께 언제나 행복이 가득하시길 바랍니다^^


,인문사회,레포트
평사 투영법
평사투영법
설명

평사%20투영법_hwp_01.gif 평사%20투영법_hwp_02.gif 평사%20투영법_hwp_03.gif 평사%20투영법_hwp_04.gif 평사%20투영법_hwp_05.gif 평사%20투영법_hwp_06.gif










다.순서



평사투영법에 의한 사면안정 해석

Graphic method는 현장에서 간단한 방법으로 절리나 단층과 같은 불연속면의 주향과 경사를 측정(測定) , net에 절리면의 pole을 투영하여 불연속면을 입체적으로 파악하여 사면의 안정성을 검토하는 방법이다. 즉, 현장에서 측정(測定) 한 불연속면의 pole을 net에 투영하여 백분율에 의한 밀도분포도를 작성한다. 사면의 경사각에서 내부마착각을 뺀 값을 경사각으로 하는 대원을 작도한다. 이와 같은 작도가 완료되면 각 불연속면을 투명한 pole의 위치에 따라 안정성을 검토할 때, pole이 daylight envelope중에서 마찰원(friction cone)과 겹치지 않는 부분에 위치하게 될 경우에는 붕괴가 일어날 우려가 있으나 그 외 지역에 위치하게 되면 안정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Graphic method는 이와 같이 불연속면의 주향과 경사 및 암반의 내부마찰각 이외의 다른 요소들이 반영되지 않는 단점이 있으나, 현장에서 비교적 손쉽게 사면의 안정성 여부를 예비판정할 수 있는 長點이 있따
평사투영해석에 의한 사면의 안정성을 해석하는 방법은 대원(great circle)과 극점(pole)으로 해석하는 두 가지 방법으로 대별할 수 있따 2차原因 평면(절리면 및 절취면)을 공간상에 투영하는 방법은 대원을 그리거나, 그 대원에 90°연직방향인 점으로 표현하는 두가지가 있따

1. 파괴의 가정조건
1) 대원투영방법
이 방법은 Hoek & Bray(1971)가 제시하였는데 주로 평면파괴(plane failure)와 쐐기파괴(wedge failure)에 관한 몇 가지 충분조건을 설정하였다.
(1) 평만파괴의 가정
① 절리의 …(생략(省略))
부족하지만 최선을 다해 작성하고자 노력하였으니 만족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전체 18,074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state.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