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역자료(data)] 북한의 수산업 내역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14 01:00본문
Download : [현황자료] 북한의 수산업 현황.hwp
[내역자료(data)] 북한의 수산업 내역
전문자료/통계자료
자료,북한,수산업,통계자료,전문자료
순서
[내역자료(data)] 북한의 수산업 내역
[현황자료] 북한의 수산업 현황 , [현황자료] 북한의 수산업 현황통계자료전문자료 , 자료 북한 수산업
설명
북한의 수산업 동향
1) 북한의 수산물 이용구조
FAO 에 의하면, 국민에 대한 수산물의 절대공급량은 남한이 북한보다 약2.5배 많으나, 1인당 공급량으로 보면 북한이 42.4kg, 남한이 49.6kg으로 큰차이가 없다.
‘92년까지 수산물 수입이 전무하였던 것이 ’93년 170만$, ‘95년 230$, 그리고 이것은 북한의 수산물 수출에 비해서는 6%수준이나, 우리나라 수산물 수입량에 비해서는 0.3%에 불과한 것이다.
남북한 수산물 수급상황(‘86~88년 mean(평균))
(단위 : 천톤)
1-1) 북한의 수산물 교역
FAO로부터 입수한 북한 수산관계 에 의하면 북한의 수산물수출은 ‘87년 7,9...
북한의 수산업 동향
1) 북한의 수산물 이용구조
FAO 에 의하면, 국민에 대한 수산물의 절대공급량은 남한이 북한보다 약2.5배 많으나, 1인당 공급량으로 보면 북한이 42.4kg, 남한이 49.6kg으로 큰차이가 없다.
1-2) 북한 수산물의 남한 …(To be continued )
Download : [현황자료] 북한의 수산업 현황.hwp( 13 )
![[현황자료]%20북한의%20수산업%20현황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D%98%84%ED%99%A9%EC%9E%90%EB%A3%8C%5D%20%EB%B6%81%ED%95%9C%EC%9D%98%20%EC%88%98%EC%82%B0%EC%97%85%20%ED%98%84%ED%99%A9_hwp_01.gif)
![[현황자료]%20북한의%20수산업%20현황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D%98%84%ED%99%A9%EC%9E%90%EB%A3%8C%5D%20%EB%B6%81%ED%95%9C%EC%9D%98%20%EC%88%98%EC%82%B0%EC%97%85%20%ED%98%84%ED%99%A9_hwp_02.gif)
![[현황자료]%20북한의%20수산업%20현황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D%98%84%ED%99%A9%EC%9E%90%EB%A3%8C%5D%20%EB%B6%81%ED%95%9C%EC%9D%98%20%EC%88%98%EC%82%B0%EC%97%85%20%ED%98%84%ED%99%A9_hwp_03.gif)
![[현황자료]%20북한의%20수산업%20현황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D%98%84%ED%99%A9%EC%9E%90%EB%A3%8C%5D%20%EB%B6%81%ED%95%9C%EC%9D%98%20%EC%88%98%EC%82%B0%EC%97%85%20%ED%98%84%ED%99%A9_hwp_04.gif)
![[현황자료]%20북한의%20수산업%20현황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D%98%84%ED%99%A9%EC%9E%90%EB%A3%8C%5D%20%EB%B6%81%ED%95%9C%EC%9D%98%20%EC%88%98%EC%82%B0%EC%97%85%20%ED%98%84%ED%99%A9_hwp_05.gif)
![[현황자료]%20북한의%20수산업%20현황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D%98%84%ED%99%A9%EC%9E%90%EB%A3%8C%5D%20%EB%B6%81%ED%95%9C%EC%9D%98%20%EC%88%98%EC%82%B0%EC%97%85%20%ED%98%84%ED%99%A9_hwp_06.gif)
다.
북한의 수입수산물은 주로 게, 새우 등 갑각류와 연체류에 한정되어 있으며, 선어와 냉동어류의 수입실적은 극히 미미한 형편이다.
한편, 최근 북한 에 의하면, ‘93~’95년의 3년간 주민 1인당 수산물 소비량은 46kg으로 나타나 있지만, 이에 대해 FAO는 최근 북한의 1인당 수산물 실질공급량을 약 26kg으로 추정하고 있다아
북한의 수산물 이용구조에서 주목되는 것은 비식용 소비량이 전체 생산량의 약 절반(46%)을 차지한다는 사실인데, 북한은 수산물로부터 공업용 기름을 채취하는 등 산업 원자재 수입을 대체함으로서 식용 수산물 공급사정을 더 어렵게 하는 요인인 것 같다.
남북한 수산물 수급상황(‘86~’88년 mean(평균))
(단위 : 천톤)
총공급량
(천톤)
비식용
소비량
수출량
실 질
공급량
기준인구
(천명)
1인당
공급량(kg)
북 한
1,700
790
37
873
20,608
42.4
남 한
3,178
403
709
2,066
41,622
49.6
주 : 실질공급량 = 총공급량 - (비식용 소비량 + 수출량)
기준인구 : ‘87년도 남북한 총인구
1-1) 북한의 수산물 교역
FAO로부터 입수한 북한 수산관계 에 의하면 북한의 수산물수출은 ‘87년 7,900만$, ’88년 1억$에 달하였으나 이후 계속 감소하여 ‘96년말 현재 5,900만$로 남한의 3.6%수준이다.
한편, 최근 북한 에 의하면, ‘93~95년의 3년간 주민 1인당 수산물 소비량은 46kg으로 나타나 있지만, 이에 대해 FAO는 최근 북한의 1인당 수산물 실질공급량을 약 26kg으로 추정하고 있다아
북한의 수산물 이용구조에서 주목되는 것은 비식용 소비량이 전체 생산량의 약 절반(46%)을 차지한다는 사실인데, 북한은 수산물로부터 공업용 기름을 채취하는 등 산업 원자재 수입을 대체함으로서 식용 수산물 공급사정을 더 어렵게 하는 요인인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