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te.kr 퇴계의 사단칠정론 > state1 | state.kr report

퇴계의 사단칠정론 > state1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state1

퇴계의 사단칠정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14 02:00

본문




Download : 퇴계의 사단칠정론.hwp




보고서 작성에 본 자료가 많은 활용이 되기를 바라며, 항상 행복하시고 좋은 하루 되세요. , 퇴계의 사단칠정론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퇴계의 사단칠정론.hwp( 24 )


퇴계의%20사단칠정론_hwp_01.gif 퇴계의%20사단칠정론_hwp_02.gif 퇴계의%20사단칠정론_hwp_03.gif 퇴계의%20사단칠정론_hwp_04.gif 퇴계의%20사단칠정론_hwp_05.gif 퇴계의%20사단칠정론_hwp_06.gif
퇴계의 사단칠정론


다. 양자간에 concept(개념)적인 차이는 없다. 또 칠정은 [예기] [예운]편에서 인간의 감정을 통칭하여 희‧노‧애‧구‧애‧오‧욕으로 지칭한 데서 비롯한 것이지만, 주자학자들이 문제삼는 것은 [중용]에서 언급한 희‧노‧애‧락의 네가지 감정을 의미한다. 보고서 작성에 본 자료(資料)가 많은 활용이 되기를 바라며, 항상 행복하시고 좋은 하루 되세요.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순서






사단칠정 논쟁을 축으로 기대승과 이황의 논쟁을 비교 분석한 자료입니다. 네 가지로 나누든 일곱 가지로 나누든 인간의 감정을 통칭했다는 점에서는…(省略)
,인문사회,레포트
사단칠정 논쟁을 축으로 기대승과 이황의 논쟁을 비교 분석한 자료(資料)입니다.

Ⅱ. 사단 칠정론

사단은 맹자가 성선설의 근거로 제시한 인간 심리현상이다.
Ⅰ. 서언

Ⅱ. 사단 칠정론
1. 논쟁의 발단
2. 논쟁근거
 가. 기대승
 나. 이황

Ⅲ. 결 언


비록 이전에 이언적과 조한보 사이에 무극태극 논쟁이 있었지만, 이는 도가와 불가 또는 육구연의 입장에 무극과 태극을 논의하였던 손숙돈과 조한보 간의 무극태극 논쟁에 대해 이언적이 일방적으로 잘못된 점을 지적하여 비판하는 형태로 서로 대립되는 두가지 주장이 부딪치는 논쟁으로서의 성격은 약하다. 이황과 기대승 사이에 진행되었던 사단칠정 논쟁은 주자학 자체가 지니고 있었던 결점을 노출시키고 정리(整理) 하는 입장에서 논쟁을 전개한 것이므로, 조선조 주자학의 전개 양상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곧 측은지심‧수오지심‧사양지심‧시비지심을 인‧의‧예‧지의 단서로 설명(explanation)한 것이다.
전체 18,074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state.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