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학기 고전소설강독 중간시험과제(problem)물 공통(세태소설론(임화)과 탈식민주의 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10-05 09:36
본문
Download : 20201중과_국문3_고전소설강독_공통.zip
춘풍을 교정, 개과시키는 인물은 그의 처 김씨이다. - 중략 -
5. 탈식민주의 론.hwp
1. 고전 <이춘풍전>
2. 박태원의 <소설가 구보씨의 一日>
1. 고전 「이춘풍전」.hwp
Download : 20201중과_국문3_고전소설강독_공통.zip( 91 )





2. 박태원의 「소설가 구보씨의 一日」.hwp
- 목 차 -
I. 서 론
4. 세태소설론(임화).hwp
II. 본 론
bibliography
순서
고전소설강독,방통대고전소설강독,방송대고전소설강독,고전소설강독과제물,고전소설강독과제,고전소설강독레포트
세태소설론(임화)과 탈식민주의 론을 통해서 고전 <이춘풍전>과 박태원의 <소설가 구보씨의 一日>을 비교ㆍ서술하시오.
1. 고전 <이춘풍전>
2020년 1학기 고전소설강독 중간시험과제(problem)물 공통(세태소설론(임화)과 탈식민주의 론)
고전 <이춘풍전>은 작품의 서두에 이춘풍 개인의 비행과 그릇된 행실, 이로 인한 재산의 탕진을 요약적 서사로 제시한다. 여기서 춘풍은 당대 문제 남편의 전형을, 춘풍의 처는 당대가 요구하는 아내상의 전범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세태소설론(임화)과 탈식민주의 론을 통해서 고전 <이춘풍전>과 박태원의 <소설가 구보씨의 一日>을 비교ㆍ서술하시오. - 목 차 - I. 서 론 II. 본 론 1. 고전 <이춘풍전> 2. 박태원의 <소설가 구보씨의 一日> 3. 고전 <이춘풍전>과 박태원의 <소설가 구보씨의 一日> 비교 III. 결 론 참고문헌 << 함께 제공되는 참고자료 한글파일 >> 1. 고전 「이춘풍전」.hwp 2. 박태원의 「소설가 구보씨의 一日」.hwp 3. 고전「이춘풍전」과 박태원의 「소설가 구보씨의 一日」 비교.hwp 4. 세태소설론(임화).hwp 5. 탈식민주의 론.hwp 6. 시사점.hwp 7. 서론 작성시 참조.hwp 8. 결론 작성시 참조.hwp
<< 함께 제공되는 참고reference(자료) 한글파일 >>
3. 고전「이춘풍전」과 박태원의 「소설가 구보씨의 一日」 비교.hwp
3. 고전 <이춘풍전>과 박태원의 <소설가 구보씨의 一日> 비교
6. 시사점.hwp
다.
III. 결 론
I. 서 론
설명
박태원의 <소설가 구보씨의 一日>는 식민지 치하의 지식인 소설가가 ‘구보(仇甫)’로써 자신의 정체성을 규정하며, 정치적 사회적 혼란기를 사는 지식인 소설가는 ‘구보(丘甫)’로써 자신의 정체성을 유표화시킨다. ‘남북조 시대의 예술노동자’로 스스로를 지칭하는 그가 피난민으로서 타향살이하는 서울, 그곳에서 고향의 언덕을 그리워하며 전통성에 대한 회귀 성향을 쉽게 드러내 주는 이름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춘풍이 마음을 고쳐 잡아 아내에게 수기를 써주고 부부가 재산을 모으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II. 본 론
임화는 평론 「세태소설론」에서 동시대 소설의 경향으로서 내성적인 것과 세태적인 것이 동시에 출현하는 것의 의미를 물으며, 그 Cause 으로 말하려고 하는 것과 묘사하려고 하는 것의 분열을 들고 있다 임화는, 스스로가 주장하려고 하는 바를 표현하려고 하면 묘사되는 세계와 그것이 부합되지 않고 묘사되는 세계를 충실하게 살리려고 하면 작가의 생각이 그것과 일치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내성`적인 소설과 `세태`적인 소설이 동시에 출현한다고 지적한다.
7. 서론 작성시 참조.hwp
방송통신 > 중간과제물
8. conclusion(결론) 작성시 참조.hwp
<이춘풍전>의 중심인물은 철저히 춘풍과 춘풍의 처, 즉 부부관계로 서술되어 있다 그리고 갈등의 Cause 은 춘풍의 비사회적이고 비도덕적인 성격적 결함과 행동 때문이다.
이 보고서는 세태소설론(임화)과 탈식민주의 론을 통해서 고전 <이춘풍전>과 박태원의 <소설가 구보씨의 一日>을 비교ㆍ서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