튀니지-자스민혁명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9-27 06:26
본문
Download : 튀니지-자스민혁명.hwp
그리고 아랍의 최빈국인 예멘, 레바논 그리고 오랜 내전으로 고통 받은 알제리에서도 혁명의 새싹이 꿈틀거리고 있다 이러한 아랍권의 새로운 alteration(변화) 의 발단은 튀니지에서 발생한 `재스민(Jasmine) 혁명’ 이였다. 그 후 시(市)청을 찾아가 수index 항의 했지만 소용이 없자 몸에 휘발유를 끼얹고 분신자살했다. 튀니지는 휴대전화 보급률이 상당히 높고 인구 1040만 명 중 350만 명이 정기적으로 인터넷(Internet) 을 사용한다. 1981년부터 처음 된 무바라크의 30년 독재 정치가 드디어 사형 선고를 받고 이집트에도 민주화의 태동이 처음 된 것이다.
순서
Download : 튀니지-자스민혁명.hwp( 79 )



튀니지-자스민혁명
튀니지-자스민혁명
튀니지-자스민혁명 , 튀니지-자스민혁명인문사회레포트 , 튀니지 자스민혁명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튀니지,자스민혁명,인문사회,레포트
아랍권 변혁의 처음 - 재스민 혁명
(Jasmine, 튀니지의 국화(國花))
최근 국제 정치계의 이목이 이집트로 집중되어 있다 계속되는 시위와 압박 속에 호스니 무바라크(Hosni Mubarak) 이집트 대통령은 반정부 시위 18일 만인 11일에 권력을 군부에 넘겨주고 대통령직에서 물러났다. 그러나 무허가 노점상 단속을 하던 경찰들에 의해 노점상이 철거당했다. 튀니지 중부에 있는 인구 4만 명의 소도시 시디 부 지드(Sidi Bou Zid)에 사는 26살 모하메드 부아지지(Mohamed Bouazizi)는 대학에서 컴퓨터Engineering을 공부한 뒤 졸업하였지만 일자리를 찾지 못하자 노점에서 과일 장사를 처음 했다.
이 소식은 휴대전화와 인터넷(Internet)을 통해 일파만파로 튀니지 전역으로 급속하게 퍼져나갔다. 또 160만 명이 페이스북(Facebook)에 가입되어 있었기 때문에 이 사건이 전파되는데 소셜네트워크(SNS)가 큰 역할을 했다.
`Free Tunisia`(자유로운 튀니지) 글자를 만든 학생들
아랍권 민주화 바람의 근원은 한 튀니지 청년의 분신자살이었다. 이에 더하여 민주화 운동가들이 만든 ‘튀니리크스’(Tunileaks)는 대통령 일가의 과도한 재산 축적과 부패상을 적나라하게 담은 외교 문서들을…(skip)
다. 모하메드는 근처 경찰서에 가서 항의했지만 돌아오는 것은 욕설과 폭력뿐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