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맞춤법의 문제점(‘허용, 다만 규정’을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11 21:47
본문
Download : 한글맞춤법의 문제점(‘허용, 다만 규정’을 중심으로).hwp
대표적인 풀이로는 <표준어 규정해설(1988.9)>과 <한글 맞춤법 해설(1988.6)이 있으며, 비판의 글로는 박홍길(1988.4)을 비롯하여 크고 작은 것이 많이 있다 그런데 맞춤법 문제는 종래 주로 원리적인 문제에 주목해 왔다.
그런데 한글 맞춤법의 여러 가지 문제로 인해 지금까지 <표준어 규정(1988)>과 <한글 맞춤법(1988)>에 대하여 비판이나 풀이한 글들이 많다.
,자연과학,레포트
한글맞춤법의문제점-허용다만규정을중심으로
한글맞춤법의 문제점(‘허용, 다만 규정’을 중심으로)
Download : 한글맞춤법의 문제점(‘허용, 다만 규정’을 중심으로).hwp( 62 )
순서
레포트/자연과학
한글맞춤법의 문제점(‘허용, 다만 규정’을 중심으로)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_hwp_06.gif)
1. 서론
한글 맞춤법은 1933년 조선어학회에서 처음 제정된 이래, 몇 차례(次例)에 걸쳐 부분적인 개정은 있었으나 지난 40년 동안 꾸준히 지켜온 우리나라의 정서법이다. 한글 맞춤법에 대한 논의는 매우 중요한 위기 상황이 아니라면, 극히 제한된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한글맞춤법은 절대불변의 것이 아니라 언젠가는 다시 개定義(정의) 당위성이 생길 것이므로, 맞춤법 규定義(정의) 문제가 확인된다면 우리는 면밀한 검토를 통해 하나씩 바꾸어 가야 할 것이다. 그러다가 1970년에 들어와 문교부의 주도로 개정 작업을 처음 하여 1978년에 개정 시안이 나왔으며 공청회 및 심의 회의의 심의를 거쳐 1988년 1월 政府에서 문교부 고시 제 88-1호로 확정 고시하여 드디어 개정된 새로운 한글 맞춤법이 공표되었다. 즉, 국어를 effect적으로 표기하는데 ‘소리대로’의 원칙이 바람직한가 아니면 ‘어법에 맞도록’의 원칙이 바람직한가 하는 논의가 관심의 초점이 되었다.
맞춤법 문제는 광범위하게 논의되고 그 문제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이 확대, 심화되고, 그 해결법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어야만 기회가 있을 때 맞춤법에 대한 효…(투비컨티뉴드 )
한글맞춤법의 문제점(‘허용, 다만 규정’을 중심으로)한글맞춤법의문제점-허용다만규정을중심으로 , 한글맞춤법의 문제점(‘허용, 다만 규정’을 중심으로)자연과학레포트 ,
설명
다. 이와 같은 원리적인 문제에 대한 검토는 맞춤법에 대한 큰 變化(변화)가 시도되는 경우에 유익한 것일 수 있다 하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기본원리에 대한 이견의 제기는 무익하고 소모적인 논의가 될 가능성이 많다. 이를 통해 우리는 한글 맞춤법이 나온 이후, 55년 만에 그동안 민간차원에서 이루어져 오던 것과는 달리 政府가 주도되어 새롭게 단장한 맞춤법을 갖게 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