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te.kr 현종대의 예송논쟁에 관하여 > state6 | state.kr report

현종대의 예송논쟁에 관하여 > state6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state6

현종대의 예송논쟁에 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06 07:17

본문




Download : 현종대의 예송논쟁에 관하여.hwp




현종대의예송논쟁에관 , 현종대의 예송논쟁에 관하여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현종대의 예송논쟁에 관하여
현종대의%20예송논쟁에%20관하여_hwp_01.gif 현종대의%20예송논쟁에%20관하여_hwp_02.gif 현종대의%20예송논쟁에%20관하여_hwp_03.gif 현종대의%20예송논쟁에%20관하여_hwp_04.gif 현종대의%20예송논쟁에%20관하여_hwp_05.gif 현종대의%20예송논쟁에%20관하여_hwp_06.gif


Download : 현종대의 예송논쟁에 관하여.hwp( 88 )









순서
현종대의예송논쟁에관
다.


Ⅰ. 머리말 1

Ⅱ. 본론 1

1. 붕당정치의 발달 1

2. 현종의 등극 2

3. 1차 예송(기해예송) 3

4. 2차 예송(갑인예송) 4

5. 붕당정치의 변질 6

Ⅲ. 맺음말 6



인조의 장자인 소현세자가 인조보다 먼저 세상을 떠나자, 그의 둘째아들인 효종이 왕통을 잇게 되었다.
효종이 승하하자 당시 이조판서인 송시열과 우참찬 송준길은 효종이 비록 왕통을 이었지만 가통으로 보면 장자가 아닌 차자이므로 조대비의 상복은 기년(1년)이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China 주나라 이후의 여러 제도는 주자가례와 더불어, 우리 나라에 전래되어 계속 시행되어 왔고 그 규정에 따르면 부모상에는 삼년복을 입고 장자상에도 그 부모는 차남과 구별하여 삼년복을 입도록 되어 있었다.
즉 송시열은 효종의 경우는 특수하여 왕위는 계승하였지만 인조의 차자이므로 인조의 계비인 조대비는 효종의 상에 기년복을 입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북벌을 추진하던 효종이 재위 10년만에 승하하고 그의 아들인 현종이 즉위하자 서인과 남인사이에는 인조의 계비인 자의대비 조씨가 효종을 위하여 몇 년 동안 상복을 입어야 하는가에 대하여 격렬한 논쟁이 일어나게 되었다. 이에 대해 남인인 윤휴는 <의례> 참쇠장 고소의 ‘제일 장자가 죽으면 적처 소생의 제이 장자를 세워 또한 장자라 한다’ <의례소> 권 29, 상복 : 제일장자사야 칙취적처소생제이장자입지 역명왈장자.
이병도, <한국유학사>, 아세아문화사, 1987, p307에서 재인용.
는 주석을 인용하여 3년복을 주장하였다.설명





붕당정치의 발달을 배경으로 예송논쟁의 1차, 2차에 대하여 알아보고, 붕당정치의 변질에 대하여 자세하게 서술하였습니다. 이러한 기해예송이 문제가 된 것은 효종이 가통으로 볼 때 차자가 되고 왕통으로 보면, 적자가 되므로, 어느 쪽으로 보는가에 따라서 상복을 입는 기간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때 서인의 송시열과 송준길은 기년복(1년)을, 남인의 윤휴와 허목은 삼년복을 주장하였고 이러한 양파간의 논쟁이 오래도록 계속되게 되었던 것이다. 국조오례의에도 구체적 명시가 없으며, 대전 오복조나 주자가례에는 기년으로 되어 있으나 사가의 경우이므로 송시열은 의례주소의 가공언주에 사종지설의 ‘체이부정’을 理論(이론)적 근거로 하여 기년설을 주장 송시열은 의례주소에서 ‘서자는 장자가 될 수 없다’,…(투비컨티뉴드 )
,인문사회,레포트

붕당정치의 발달을 배경으로 예송논쟁의 1차, 2차에 대하여 알아보고, 붕당정치의 변질에 대하여 자세하게 서술하였습니다. 이것이 1차 예송인 기해예송(1659)이다.
전체 17,963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state.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