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te.kr 시선과 정체성, 그리고 우리의 Design > state7 | state.kr report

시선과 정체성, 그리고 우리의 Design > state7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state7

시선과 정체성, 그리고 우리의 Design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10 12:04

본문




Download : 시선과 정체성, 그리고 우리의 Design.hwp




시선과정체성그리고우리의Design
순서




설명

1. 들어가며
2. 야나기 무네요시, 온정주의와 타자의 시선
2.1. “비학술적을 표방하는 암세포적 사상”에 “학술적 메스”를 들이대다. 에드워드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을 인용하며, “타자”를 定義(정의)하는 관점자체를 비판하며, 그의 온정주의 너머에 있는 조선 예술에 대한 폄하적인 시각을 비판한다.



시선과 정체성, 그리고 우리의 Design


,감상서평,레포트


우리의 “예술” 혹은 “디자인”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고, 어떻게 나아가야 하는지에 대해서 논한 자료입니다.
2.2. 심리학적 비판
2.3. 인류학적 비판
2.4. 철학적 비판
3. 강영희, 제로섬 게임을 넘어선 정체성 추구
3.1. 강영희의 야나기 무네요시 비판
3.2. 한국인의 미의식과 정체성, 그리고 “기억 속의 심상”
4. 우리의 Design과 정체성
4.1. Design
4.2. Design 창조하기
4.3. Design 읽기
4.4. 우리 Design의 정체성
5. 나오면서
6. bibliography


3.1. 강영희의 야나기 무네요시 비판
강영희 역시 나와 비슷한 비판을 가했다. 그것은 “日本 인”의 관점에서 바라본 “조선의 예술”에 불과했던 것이며, 그것이 곧 “조선의 예술과 미의식”을 올바로 定義(정의)한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온갖 “레토릭”(수사)으로 얘기해봤자 그것은 개인의 한낱 (오류를 내포한) 감상의 읊조림일 뿐이지, 조선의 미의식을 대표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여러 가지 예를 들며 야나기 무네요시데 대한 비…(省略)

Download : 시선과 정체성, 그리고 우리의 Design.hwp( 92 )




우리의 “예술” 혹은 “디자인”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고, 어떻게 나아가야 하는지에 마주향하여 논한 reference(자료)입니다.
그리고 그의 “감상적 읆조림” 역시 비판한다. 또한 한국은 “섬”도 “대륙”도 아닌 “반도”에 위치해있어서 “history(역사) ”의 culture를 얻게 되었고, 그로 하여금 “울분”과 “한”이 녹아있는 예술을 창조했다고 말한 야나기 무네요시를 비판한다.시선과정체성그리고우리의Design , 시선과 정체성, 그리고 우리의 Design감상서평레포트 ,
시선과%20정체성,%20그리고%20우리의%20Design_hwp_01.gif 시선과%20정체성,%20그리고%20우리의%20Design_hwp_02.gif 시선과%20정체성,%20그리고%20우리의%20Design_hwp_03.gif 시선과%20정체성,%20그리고%20우리의%20Design_hwp_04.gif 시선과%20정체성,%20그리고%20우리의%20Design_hwp_05.gif 시선과%20정체성,%20그리고%20우리의%20Design_hwp_06.gif

레포트/감상서평


다.
전체 18,174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state.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