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부사시사 교육적 대상과 지도 방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5-26 09:30
본문
Download : 어부사시사 교육적 대상과 지도 방안.hwp
그렇다면 연시조는 언제 어떤 계층에 의해 발생하여 창작되었을까? 최초의 연시조 작품으로 맹사성의 <江湖四時歌>와 항희의 <四時歌>를 꼽고 있는 것이다. 사림파는 15-16세기의 사회적 · 정치적 혼란 속에서 등장한 지방의 중소 지주이자 在地士族인 계층을 말한다. 그리하여 연산군 때의 士禍, 중종반정과 사림의 복배, 명종 때의 士禍, 선조의 임진왜란 등 끝없는 정치 격동의 과정에서 수次例(차례) 정계축출을 경험한 사림의 내부에서는 새로운 경향이 나타났다. 그러나 맹사성의 <江湖四時歌>는 각 장의 3행에서 亦君恩 이샷다. 그 뒤 17세기, 18세기에 이르는 동안 약 100여 편의 작품이 창작되었다. 어부사시사 교육적 대상과 지도 방법
<漁父四時詞>에 대한 연구는 많은 학자들에 의해 이루어졌는데, 주로 孤山 문학을 연구하는 하위 항목으로 다루어지거나 단일 작품으로서 갈래 문제, 비교 연구, 배경 연구, 자연관, 작품 세계 등 여러 방면에서 이루어졌다.
그 당시의 사회는 勳舊들의 부정과 비리로 사회적 · 계급적 모순과 갈등이 심화되었고 전국적으로 지배계급에 반대하는 피지배계급의 저항이 두드러지게 표면화 되었던 시기이다.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에 따라 개정된 고등학교 국어(상)에 수록되어 있는 연시조 작품 <어부사시사>를 텍스트로 삼았다. 시조의 하위 장르라고 할 수 있는 연시조는 하나의 제목 아래 平時調가 두 수 이상 있는 시가 형식을 말한다.는 어구가 반복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조선 초기 악장을 짓던 분위기 속에서 만들어진 것이라고 할 수 있고, 황희의 <四時歌>는 문헌마다 약간의 차이를 보이기는 하지만 황희가 지었다는 문헌이 많으므로 황희의 작품으로 인정할 때, 연시조는 15세기 말에 발생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15세기에 해당하는 작품은 이 두 작품에 불과하므로, 본격적으로 연시조가 창작된 것은 16세기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이 두 작품을 제외하고 나면 16세기 연시조에 주목하게 되는데, 현전하는 연시조 작품 가운데 이 시기에 창작된 작품 수가 10여 편에 이른다. 이 작품들은 봄, 여름, 가을, 겨울을 시간적 배경으로 해서 4장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연시조의 발생시기를 논의할 때 거론되곤 한다. 제7차 교육과정이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지향하고 있다는 것과 문학교육이 수용과 창작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것을 고려하여 연시조인 <漁父四時詞> 교수 · 학습 방안을 모색해 보려고 한다. 지금까지도 <어부사시사>에 대한 연구는 끊임없이 다방면에서 연구되고 있다 이는 <어부사시사>가 우리 고전시가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말해 주는 것이다. 먼저, Ⅱ장에서는 聯詩調의 성격을 검토할 것이며, Ⅲ장에서는 <漁父四時詞>의 문학 작품 교육 대상 즉 고산의 생애와 작품分析을, Ⅳ장에서는 <漁父四時詞>의 교수 · 학습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태진, 『한국사회사 연구』 (지식산업사, 1986) p. 299
Ⅱ. 연시조의 성격
설명
1. 형성 배경과 담당층
Download : 어부사시사 교육적 대상과 지도 방안.hwp( 64 )
어부사시사 교육적 대상과 지도 방안 어부사시사 교육적 대상과 지도 방안 어부사시사 교육적 대상과 지도 방안
어부사시사 교육적 대상과 지도 방안
어부사시사 교육적 대상과 지도 방법
어부사시사 교육적 대상과 지도 방법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어부사시사 교육적 대상과 지도 방안





순서
.
어부사시사 교육적 대상과 지도 방법
.
다. 정계 진
.
시조는 3장 4음보로 이루어진 시가양식이다. 그렇다면 연시조를 창작한 계층은 누구일까? 16세기 새로운 시가 형식인 연시조를 창작하거나 거기에 간접적으로 참여한 사람들은 이현보, 주세붕, 이항, 황준량 등 모두 사림파라는 16세기 정치적 집단에 속하는 인물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등장한 사림파는 누적되어온 모순과 비리를 해결하기 위해 개혁을 주장하고 현실참여와 함께 정계 진출을 꾀하게 된다 그러나 이들의 정계 진출은 개혁을 반대하는 지배세력인 훈구파와의 대립을 초래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