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질역학 및 실험]흙의 다짐시험, 실내 CBR 시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3-06 01:26
본문
Download : [토질역학 및 실험]흙의 다짐시험,.hwp
이것을 최적함수비(OMC)라고 하며 Proctor의 방법은 실내에서의 표준다짐방법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토질역학 및 실험]흙의 다짐시험,-2715_05_.jpg](/prev/201406/%5B%ED%86%A0%EC%A7%88%EC%97%AD%ED%95%99%20%EB%B0%8F%20%EC%8B%A4%ED%97%98%5D%ED%9D%99%EC%9D%98%20%EB%8B%A4%EC%A7%90%EC%8B%9C%ED%97%98,-2715_01_.jpg../prev/201406/%5B%ED%86%A0%EC%A7%88%EC%97%AD%ED%95%99%20%EB%B0%8F%20%EC%8B%A4%ED%97%98%5D%ED%9D%99%EC%9D%98%20%EB%8B%A4%EC%A7%90%EC%8B%9C%ED%97%98,-2715_02_.jpg../prev/201406/%5B%ED%86%A0%EC%A7%88%EC%97%AD%ED%95%99%20%EB%B0%8F%20%EC%8B%A4%ED%97%98%5D%ED%9D%99%EC%9D%98%20%EB%8B%A4%EC%A7%90%EC%8B%9C%ED%97%98,-2715_03_.jpg../prev/201406/%5B%ED%86%A0%EC%A7%88%EC%97%AD%ED%95%99%20%EB%B0%8F%20%EC%8B%A4%ED%97%98%5D%ED%9D%99%EC%9D%98%20%EB%8B%A4%EC%A7%90%EC%8B%9C%ED%97%98,-2715_04_.jpg../prev/201406/%5B%ED%86%A0%EC%A7%88%EC%97%AD%ED%95%99%20%EB%B0%8F%20%EC%8B%A4%ED%97%98%5D%ED%9D%99%EC%9D%98%20%EB%8B%A4%EC%A7%90%EC%8B%9C%ED%97%98,-2715_05_.jpg)
다. 수정다짐방법은 1/13.33 ft3(2123cm3)의 모울드에 흙을 5층으로 나누어 넣고 10 lb(4.5kg)의 래머로 1.5 ft(45cm)의 높이에서 55회씩 다지는 것이다.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工學(공학) 적 목적으로 흙의 성질을 개선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로울러나 진동기와 같은 다짐기계를 사용하여 다지는 것이 가장 경제적인 방법이다. 느슨한 흙의 다짐으로 인해 흙의 단위중량이 증가하고 전단강도가 증가하며, 또한 투수계수와 압축성이 감소됨으로써 그 흙의 공학적 성질이 크게 개선된다.
Download : [토질역학 및 실험]흙의 다짐시험,.hwp( 64 )
2차대전 중 중량의 flight(항공)기를 지지할 비행장 건설에 요구되는 다짐을 위해서 Proctor의 표준다짐 에너지로는 부족함을 알게 되어 수정 Proctor방법이 개발되었다. 그는 1/30 ft3(944cm3)의 모울드(mold)에 흙을 3층으로 나누어 넣어 각층마다 5.5 lb(2.5kg)의 래머를 1 ft(30cm)의 높이에서 25회씩 낙하시켜 다짐시험을 행하였다. 이를 위해 현장의 다짐에 대응하는 실내다짐시험을 한 후, 현장에서의 다짐을 시험을 통해 얻은 최대건조단위중량의 어느 일정 비율로 한정한다.
공학적 목적으로 흙의 성질을 개선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로울러나 진동기와 같은 다짐기계를 사용하여 다지는 것이 가장 경제적인 방법이다.
1.2 목적
순서
[토질역학 및 실험]흙의 다짐시험, 실내 CBR 시험
실내다짐시험의 목적은 현장에서 흙을 다질 때 살포할 가장 적절한 수량과 이 수량으로 흙을 다질 때 예상되는 단위중량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느슨한 흙의 다짐으로 인해 흙의 단위중량이 증가하고 전단강도가 증가하며, 또한 투수계수와 압축성이 감소됨으로써 그 흙의 工學(공학) 적 성질이 크게 개선된다된다. 시험결과로부터 동일한 에너지로 흙을 다졌을 때 건조단위중량이 최대가 되는 함수비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어 도로교시방서에는 “도로의 기층은 수정다짐방법의 95%이상 다져야 한다”고 규정되어 있다
토질역학,흙의 다짐시험, 실내 CBR 시험
설명
다짐시험은 1933년 R.R. Proctor에 의해 체계적으로 정리되었다.